Post

조화진동자(The Harmonic Oscillator)의 해석적 풀이

양자역학에서의 조화진동자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세우고, 해당 방정식의 해석적인 풀이법을 알아본다. 무차원 변수 𝜉를 도입하여 방정식을 풀고, 임의의 규격화된 정상상태를 에르미트 다항식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조화진동자(The Harmonic Oscillator)의 해석적 풀이

TL;DR

  • 진폭이 충분히 작다면 어떠한 진동도 단순조화진동(simple harmonic oscillation)으로 근사할 수 있으며, 이 덕에 단순조화진동은 물리학에서 중요한 의미 가짐
  • 조화진동자: $V(x) = \cfrac{1}{2}kx^2 = \cfrac{1}{2}m\omega^2 x^2$
  • 무차원 변수 $\xi$와 $\cfrac{1}{2}\hbar\omega$ 단위로 나타낸 에너지 $K$ 도입:
    • $\xi \equiv \sqrt{\cfrac{m\omega}{\hbar}}x$
    • $K \equiv \cfrac{2E}{\hbar\omega}$
    • $ \cfrac{d^2\psi}{d\xi^2} = \left(\xi^2-K \right)\psi $
  • $|\xi|^2 \to \infty$일 때 물리적으로 허용된 점근해는 $\psi(\xi) \to Ae^{-\xi^2/2}$이므로,
\[\begin{gather*} \psi(\xi) = h(\xi)e^{-\xi^2/2} \quad \text{(단, }\lim_{\xi\to\infty}h(\xi)=A\text{)}, \\ \frac{d^2h}{d\xi^2}-2\xi\frac{dh}{d\xi}+(K-1)h = 0 \end{gather*}\]
  • 위 방정식의 해를 급수 형태 $ h(\xi) = a_0 + a_1\xi + a_2\xi^2 + \cdots = \sum_{j=0}^{\infty}a_j\xi^j$로 표현하면,
\[a_{j+2} = \frac{(2j+1-K)}{(j+1)(j+2)}a_j\]
  • 이 해가 규격화되기 위해서는 급수 $\sum a_j$는 유한해야 하며, 즉 어떤 ‘가장 큰’ $j$값 $n\in \mathbb{N}$이 존재하여 $j>n$일 때 $a_j=0$이어야 하므로
    • $ K = 2n + 1 $
    • $ E_n = \left(n+\cfrac{1}{2} \right)\hbar\omega, \quad n=0,1,2,\dots $
  • 일반적으로 $h_n(\xi)$는 $\xi$의 $n$차 다항식이며, 여기서 앞의 계수($a_0$ 또는 $a_1$)을 제외한 나머지를 에르미트 다항식(Hermite polynomials) $H_n(\xi)$라고 함
\[h_n(\xi) = \begin{cases} a_0 H_n(\xi), & n=2k & (k=0,1,2,\dots) \\ a_1 H_n(\xi), & n=2k+1 & (k=0,1,2,\dots) \end{cases}\]
  • 조화진동자의 규격화된 정상상태:
\[\psi_n(x) = \left(\frac{m\omega}{\pi\hbar} \right)^{1/4} \frac{1}{\sqrt{2^n n!}}H_n(\xi)e^{-\xi^2/2}\]
  • 양자진동자의 특징
    • 고유함수로 짝함수와 홀함수가 번갈아 나타남
    • 고전역학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는 영역(주어진 $E$에 대한 고전적인 진폭보다 큰 $x$)에서도 발견될 확률이 $0$이 아니며, 낮은 확률이지만 입자가 존재할 수 있음
    • $n$이 홀수인 모든 정상상태에 대해 중심에서 입자를 발견할 확률은 $0$
    • $n$이 클수록 고전적 진동자와 유사해짐

Prerequisites

모델 설정

고전역학에서의 조화진동자 기술 방식과, 조화진동자 문제가 갖는 중요성에 대해서는 앞선 글을 참고하라.

양자역학에서의 조화진동자

양자역학적 조화진동자 문제는 퍼텐셜

\[V(x) = \frac{1}{2}m\omega^2 x^2 \label{eqn: potential_omega}\tag{1}\]

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푸는 것이다. 조화진동자에 대한 시간에 무관한 슈뢰딩거 방정식

\[-\frac{\hbar^2}{2m}\frac{d^2\psi}{dx^2} + \frac{1}{2}m\omega^2x^2\psi = E\psi \label{eqn:t_independent_schrodinger_eqn}\tag{2}\]

이다.

이 문제를 푸는 데에는 완전히 다른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하나는 거듭제곱급수(power series)를 이용한 해석적인 방법(analytic method)이고, 다른 하나는 사다리연산자(ladder operators)를 이용한 대수적인 방법(algebraic method)이다. 대수적인 방법이 더 빠르고 간단하지만, 거듭제곱급수를 이용한 해석적인 풀이 또한 공부할 필요가 있다. 앞서 대수적인 풀이 방법을 다룬 바 있으며, 여기서는 해석적인 풀이 방법을 다룬다.

슈뢰딩거 방정식의 변형

무차원의 변수

\[\xi \equiv \sqrt{\frac{m\omega}{\hbar}}x \label{eqn:xi}\tag{3}\]

를 도입하면 시간에 무관한 슈뢰딩거 방정식 ($\ref{eqn:t_independent_schrodinger_eqn}$)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쓸 수 있다.

\[\frac{d^2\psi}{d\xi^2} = \left(\xi^2-K \right)\psi. \label{eqn:schrodinger_eqn_with_xi}\tag{4}\]

여기서 $K$는 $\cfrac{1}{2}\hbar\omega$ 단위로 나타낸 에너지이다.

\[K \equiv \frac{2E}{\hbar\omega}. \label{eqn:K}\tag{5}\]

이제 이렇게 다시 쓴 방정식 ($\ref{eqn:schrodinger_eqn_with_xi}$)를 풀면 된다. 우선 매우 큰 $\xi$에 대해서(즉 매우 큰 $x$에 대해서) $\xi^2 \gg K$이므로,

\[\frac{d^2\psi}{d\xi^2} \approx \xi^2\psi \label{eqn:schrodinger_eqn_approx}\tag{6}\]

가 되며 이에 대한 근사적인 해는

\[\psi(\xi) \approx Ae^{-\xi^2/2} + Be^{\xi^2/2} \label{eqn:psi_approx}\tag{7}\]

이다. 그런데 여기서 $B$ 항은 $|x|\to \infty$일 때 발산하여 규격화할 수 없으므로, 물리적으로 허용되는 점근해는

\[\psi(\xi) \to Ae^{-\xi^2/2} \label{eqn:psi_asymp}\tag{8}\]

이다. 이제 여기서 지수 부분을 분리하여

\[\psi(\xi) = h(\xi)e^{-\xi^2/2} \quad \text{(단, }\lim_{\xi\to\infty}h(\xi)=A\text{)} \label{eqn:psi_and_h}\tag{9}\]

로 쓰자.

지수항 $e^{-\xi^2/2}$을 알아내기 위하여 유도 과정에서 근사법을 이용해 점근해의 형태를 찾았을 뿐, 이를 통해 얻어낸 식 ($\ref{eqn:psi_and_h}$)는 근사적인 식이 아니라 정확한 식이다. 이와 같이 점근 형태를 분리하는 것은 미분방정식을 거듭제곱급수 형태로 풀 때 사용하는 표준적인 첫 단계이다.

식 ($\ref{eqn:psi_and_h}$)를 미분하여 $\cfrac{d\psi}{d\xi}$와 $\cfrac{d^2\psi}{d\xi^2}$을 구하면

\[\begin{gather*} \frac{d\psi}{d\xi} = \left(\frac{dh}{d\xi}-\xi h \right)e^{-\xi^2/2}, \\ \frac{d^2\psi}{d\xi^2} = \left(\frac{d^2h}{d\xi^2}-2\xi\frac{dh}{d\xi}+(\xi^2-1)h \right)e^{-\xi^2/2} \end{gather*}\]

이므로 슈뢰딩거 방정식 ($\ref{eqn:schrodinger_eqn_with_xi}$)는 이제

\[\frac{d^2h}{d\xi^2}-2\xi\frac{dh}{d\xi}+(K-1)h = 0 \label{eqn:schrodinger_eqn_with_h}\tag{10}\]

가 된다.

거듭제곱급수 전개

테일러 정리(Taylor’s theorem)에 의하면 임의의 부드럽게 변하는 함수는 거듭제곱급수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식 ($\ref{eqn:schrodinger_eqn_with_h}$)의 해를 $\xi$의 급수 형태인

\[h(\xi) = a_0 + a_1\xi + a_2\xi^2 + \cdots = \sum_{j=0}^{\infty}a_j\xi^j \label{eqn:h_series_exp}\tag{11}\]

형태로 구해 보자. 이 급수의 각 항을 미분하면 다음 두 식을 얻는다.

\[\begin{gather*} \frac{dh}{d\xi} = a_1 + 2a_2\xi + 3a_3\xi^2 + \cdots = \sum_{j=0}^{\infty}ja_j\xi^{j-1}, \\ \frac{d^2 h}{d\xi^2} = 2a_2 + 2\cdot3a_3\xi + 3\cdot4a_4\xi^2 + \cdots = \sum_{j=0}^{\infty} (j+1)(j+2)a_{j+2}\xi^j. \end{gather*}\]

이 두 식을 다시 슈뢰딩거 방정식(식 [$\ref{eqn:schrodinger_eqn_with_h}$])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sum_{j=0}^{\infty}[(j+1)(j+2)a_{j+2} - 2ja_j + (K-1)a_j]\xi^j = 0. \label{eqn:schrodinger_eqn_power_series}\tag{12}\]

거듭제곱급수 전개의 유일성에 의해 $\xi$의 각 차수에 대한 계수는 $0$이 되어야 하므로

\[(j+1)(j+2)a_{j+2} - 2ja_j + (K-1)a_j = 0\] \[\therefore a_{j+2} = \frac{(2j+1-K)}{(j+1)(j+2)}a_j. \label{eqn:recursion_formula}\tag{13}\]

되풀이 공식(recursion formula)은 슈뢰딩거 방정식과 동등하다. 두 개의 임의의 상수 $a_0$와 $a_1$이 주어지면 해 $h(\xi)$의 모든 항의 계수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얻은 해를 항상 규격화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급수 $\sum a_j$가 무한급수일 경우($\lim_{j\to\infty} a_j\neq0$일 경우) 매우 큰 $j$에 대해 위의 되풀이 공식은 근사적으로

\[a_{j+2} \approx \frac{2}{j}a_j\]

가 되며, 이에 대한 근사적인 해는

\[a_j \approx \frac{C}{(j/2)!} \quad \text{(}C\text{는 임의의 상수)}\]

이다. 이 경우 고차항이 지배적이게 되는 큰 $\xi$값에 대하여

\[h(\xi) \approx C\sum\frac{1}{(j/2)!}\xi^j \approx C\sum\frac{1}{j!}\xi^{2j} \approx Ce^{\xi^2}\]

의 형태가 되며, 이렇게 $h(\xi)$가 $Ce^{\xi^2}$꼴이 되면 식 ($\ref{eqn:psi_and_h}$)의 $\psi(\xi)$는 $Ce^{\xi^2/2}$ 꼴이 되어 $\xi \to \infty$일 때 발산한다. 이는 식 ($\ref{eqn:psi_approx}$)에서 $A=0, B\neq0$인 규격화할 수 없는 해에 해당한다.

따라서 급수 $\sum a_j$는 유한해야 한다. 어떤 ‘가장 큰’ $j$값 $n\in \mathbb{N}$이 존재하여 $j>n$일 때 $a_j=0$이어야 하며,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0$이 아닌 $a_n$에 대하여 $a_{n+2}=0$이어야 하므로 식 ($\ref{eqn:recursion_formula}$)으로부터

\[K = 2n + 1\]

이어야 한다. 이를 식 ($\ref{eqn:K}$)에 대입하면 물리적으로 허용된 에너지

\[E_n = \left(n+\frac{1}{2} \right)\hbar\omega, \quad n=0,1,2,\dots \label{eqn:E_n}\tag{14}\]

를 얻는다. 이로써 조화진동자의 대수적 풀이의 식 (21)에서의 에너지의 양자화 조건을 전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얻었다.

에르미트 다항식 (Hermite polynomials) $H_n(\xi)$와 정상상태 $\psi_n(x)$

에르미트 다항식 $H_n$

일반적으로 $h_n(\xi)$는 $\xi$의 $n$차 다항식이고, $n$이 짝수이면 짝수 차수만, $n$이 홀수이면 홀수 차수만 포함한다. 여기서 앞의 계수($a_0$ 또는 $a_1$)을 제외한 나머지를 에르미트 다항식(Hermite polynomials) $H_n(\xi)$라고 한다.

\[h_n(\xi) = \begin{cases} a_0 H_n(\xi), & n=2k & (k=0,1,2,\dots) \\ a_1 H_n(\xi), & n=2k+1 & (k=0,1,2,\dots) \end{cases}\]

전통적으로 $H_n$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2^n$이 되도록 임의로 계수를 정한다.

다음은 에르미트 다항식의 처음 몇 개를 나타낸 것이다.

\[\begin{align*} H_0 &= 1 \\ H_1 &= 2\xi \\ H_2 &= 4\xi^2 - 2 \\ H_3 &= 8\xi^3 - 12\xi \\ H_4 &= 16\xi^4 - 48\xi^2 + 12 \\ H_5 &= 32\xi^5 - 160\xi^3 + 120\xi \\ &\qquad\vdots \end{align*}\]

정상상태 $\psi_n(x)$

조화진동자에 대한 규격화된 정상상태는 다음과 같다.

\[\psi_n(x) = \left(\frac{m\omega}{\pi\hbar} \right)^{1/4} \frac{1}{\sqrt{2^n n!}}H_n(\xi)e^{-\xi^2/2}.\]

이는 조화진동자의 대수적 풀이에서 구한 결과(식 [27])와 일치한다.

다음 이미지는 첫 8개의 $n$값에 대한 정상상태 $\psi_n(x)$와 확률밀도 $|\psi_n(x)|^2$을 나타낸 것이다. 양자진동자의 고유함수로 짝함수와 홀함수가 번갈아 나타남을 볼 수 있다.

Wavefunction representations for the first eight bound eigenstates, n = 0 to 7. The horizontal axis shows the position x.

이미지 출처

Corresponding probability densities.

이미지 출처

  • 저작자: 위키미디어 유저 AllenMcC
  • 라이선스: Public Domain

양자진동자는 대응하는 고전적 진동자와 상당히 다르며, 에너지가 양자화된 것뿐만 아니라 위치 $x$의 확률분포 또한 기묘한 특성들을 보인다.

  • 고전역학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는 영역(주어진 $E$에 대한 고전적인 진폭보다 큰 $x$)에서도 발견될 확률이 $0$이 아니며, 낮은 확률이지만 입자가 존재할 수 있음
  • $n$이 홀수인 모든 정상상태에 대해 중심에서 입자를 발견할 확률은 $0$

$n$이 클수록 양자진동자는 고전적 진동자와 유사한 양상을 띄게 된다. 아래 이미지는 위치 $x$의 고전적인 확률분포(점선)와 $n=30$일 때의 양자상태 $|\psi_{30}|^2$(실선)을 나타낸 것이다. 울퉁불퉁한 부분들을 부드럽게 이으면 두 그래프는 대략 일치하는 형태를 보인다.

Quantum (solid) and classical (dashed)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the n = 30 excited state of the quantum harmonic oscillator. The vertical dashed lines represent the classical turning points.

이미지 출처

  • 저작자: 위키미디어 유저 AkanoToE
  • 라이선스: Public Domain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Quantum Oscillator Probability Distributions

다음은 내가 직접 작성한 Plotly.js 기반의 반응형 시각화이다. 슬라이더로 $n$값을 조절해 가며 위치 $x$에 대한 고전적인 확률분포 및 $|\psi_n|^2$의 개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만약 본인 컴퓨터에서 Python을 사용할 수 있고 Numpy, Plotly, Dash 라이브러리가 설치된 환경이라면 동일한 리포지터리 내 /src/quantum_oscillator.py Python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결과를 볼 수도 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NC 4.0 by the author.